크로스 브라우징 이란?
웹 표준에 따라 서로 다른 OS 또는 플랫폼에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.
브라우저별 렌더링 엔진이 다른 상황 등 어떠한 상황속에서도 문제 없이 동작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한다.
●크로스 브라우징이 발생하는 이유
- 웹 브라우저의 종류를 살펴보더라도 크롬, 사파리, 인터넷 익스플로러 웨일, 파이어폭스 등등 매우 많은 브라우저들이 존재한다. 이 브라우저들은 W3C라는 국제 웹 표준화 기구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을 따라서 동작하게 되나, W3C에서 제공하지 않은 가이드라인에 대한 디테일한 내용들은 각각의 상황에 맞게 구현되어있기 때문에 각각의 렌더링 엔진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을 한다.
● 해결법
- 기능탐지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이 해당 브라우저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
전체적인 웹 표준을 지키는 데에 노력을 기울여야한다.
'웹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st API (0) | 2021.09.26 |
---|---|
STRAPI 구현 (0) | 2021.09.19 |
[웹 프로그래밍] 스토리지와 쿠키 (0) | 2021.09.13 |
package.json의 역할 (0) | 2021.09.07 |
CORS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 (0) | 2021.08.29 |